본문 바로가기
부동산/뉴스.정책

2021년 8월 1주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 (한국부동산원,20210802)

by 세알모 2021. 8. 23.
728x90
반응형

얼마 전에 한국부동산원에서 발표한 7월 넷째주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에 대해 포스팅을 했었습니다.

 

2021.08.01 - [부동산/정책.뉴스] - 2021년 7월 4주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 (한국부동산원,20210726)

 

2021년 7월 4주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 (한국부동산원,20210726)

얼마 전에 한국부동산원에서 발표한 7월 셋째주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에 대해 포스팅을 했었습니다. 2021.07.28 - [부동산/정책.뉴스] - 2021년 7월 3주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 (한국부동산원,20

ceciliaj.tistory.com

오늘은 8월 5일에 발표한 8월 첫째주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에 대해서 포스팅을 해볼까 합니다.
기준일은 2021.8.2. 입니다.

8월 첫째주 전국적으로 매매가격은 0.28% 상승하여 전주보다 상승폭이 커졌습니다.
수도권 전체는 0.37% 상승했고 서울은 0.20%, 지방은 0.20% 상승했습니다.
수도권에서의 매매가격 상승폭이 지방에 비해서 다소 컸습니다.

전세가격의 경우 전국적으로 0.21% 상승하여, 전주보다는 상승률이 살짝 감소했습니다.
수도권은 0.28%, 지방은 0.14% 상승했고 서울은 0.17% 상승했습니다.

 

지난 1년간의 전국 아파트 매매, 전세가격 지수 및 변동률 추이를 나타낸 그래프입니다.
파란색 막대그래프가 매매가격 변동률인데, 지난 1년간 끊임없이 매주 상승하고 있습니다.

특히 2020년 8월 10일 이후부터 11월 초 이전까지의 변동률보다는 2020년 11월 초 이후부터 지금까지의 상승률이 더 높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2020년 하반기부터 지금까지 매매가격이 더 가파르게 상승해 온 것으로 보입니다.
매매가격지수는 작년 이후로 지금까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중입니다.

매매가격지수란, 아파트의 평균 가격을 100으로 봤을 때 상승 또는 하락 정도를 상대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예를 들어 지수가 110 이라는 것은 아파트 평균 값이 10% 정도 상승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전세가격의 변동은 주황색 그래프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전세가격은 2020년 11월부터 2021년 연초까지 상승률이 가장 높았다가 상승률이 약간 둔화된 후, 지금은 상승률이 거의 일정해진것 같습니다.
작년 하반기에 일시적으로 상승률이 높았던 것은 작년 7월말 전격 시행된 임대차 3법의 영향으로 일시적으로 전세 매물이 사라지고 전세값이 폭등했던 것 때문으로 보입니다.
전세가격지수 역시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현재는 매매가격지수와 비슷한 수준입니다.

 

전국 시도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을 나타낸 그래프입니다.
8월 첫째주에 전국에서 상승률이 가장 컸던 지역은 제주특별자치도로, 0.69% 의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두번째로 상승률이 높았던 곳은 경기도로 0.47% 의 상승률을 보였습니다.
그 외 인천광역시가 0.37% 로 그 뒤를 이었습니다.

 

 

8월 첫째주에 경기도에서 가장 매매가격 상승률이 높았던 곳은 군포시(0.85%)입니다.
안성시(0.84%), 안양시 동안구(0.76%), 의왕시(0.74%), 시흥시(0.69%), 화성시(0.68%), 평택시(0.65%)까지 이번주에 높은 상승률을 보였습니다.

서울의 상승률은 0.20% 인데 그 중에서 노원구의 상승률은 0.37% 로 가장 높았습니다.
노원구는 최근 2주간 0.30% 가 넘는 상승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강남 3구의 경우 강남구 0.18%, 서초구 0.20%, 송파구 0.22%로 모두 강한 상승률을 보였고 도봉구(0.26%), 관악구(0.24%), 강서구(0.22%), 중랑구(0.21%)도 강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2021년 6월 28일부터 지금까지 매매가격 변동률을 누적으로 살펴보면, 수도권에서 경기도와 인천은 매주 거의 0.40% 를 넘는 매매가격 상승률을 보여왔습니다.
2021년 8월 첫째주까지의 연간 누적 상승률은 인천이 14.23% 로 가장 높았고, 제주도 12.99%, 경기도가 12.76%, 대전 9.83%, 부산 8.90% 로 그 뒤를 이었습니다.

도시별로 보면 의왕시가 26.77% 로 전국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이고 있고, 시흥시 25.20%, 안양시 동안구 23.06%, 안산시 22.83%,  인천시 연수구 21.21%, 군포시 19.63% 로 그 뒤를 이었습니다.
2020년 같은 시기 대비 상승폭이 전반적으로 커진 것으로 보입니다.
공급 부족과 개발 호재에 따른 매매가격 상승은 당분간 지속될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